📏 1. Size Category (사이즈 카테고리)

개념:
이 테이블에 얼마나 많은 양의 데이터가 저장될지 SAP에게 알려주는 설정이다.

SAP는 내부적으로 테이블이 저장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스페이스 크기를 미리 할당하는데, 이때 크기를 예측해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배분하기 위해 사용함

📊 예시:

size 예상레코드수
0 ~600
1 ~3,700
2 ~18,500
3 ~92,000
4 ~460,000
5 ~2,300,000

숫자가 올라갈수록 테이블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 언제 쓰는지 예시:

  • 고객 테이블처럼 기본 정보만 몇 천 건 저장 → Size Category 0~1
  • 매출 내역, 로그 테이블처럼 수십만~수백만 건 저장될 것 같음 → Size Category 3~5

실제로 정확하게 사이즈를 모르더라도, 예상 수치에 따라 잡아주면 됨. 필요하면 SAP가 자동으로 확장함.


🚀 2. Buffering (버퍼링)

의미:
SAP 앱 서버가 테이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DB를 매번 조회하지 않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야!

📦 왜 쓰는 걸까?

  • 읽기 위주 테이블에서 매번 DB를 조회하면 속도 저하
  • 버퍼링하면 빠르게 메모리에서 불러올 수 있음

🧰 Buffering 종류


❌ No buffering 버퍼링 안 함. (매번 DB 조회)
✅ Full buffering 전체 테이블을 통째로 메모리에 저장. 작은 기준 테이블에 적합.
⚠️ Generic buffering Key 필드를 기준으로 일부 데이터만 버퍼링. 큰 테이블에 적합.

💡 예시로 정리:

국가 코드, 통화 코드 (거의 안 바뀜) Full buffering 작고 자주 읽음
고객 주문 테이블 (자주 바뀜) No buffering 매번 최신 데이터가 필요
중간 크기 마스터 데이터 테이블 Generic buffering 키 기준으로 쪼개서 캐싱

⚠️ 참고: 버퍼링 사용 시 유의할 점!

  • 테이블이 자주 바뀌면 버퍼와 DB가 불일치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함
  • 주로 읽기 전용 테이블, 기준 코드 테이블에 적용함

🧾 요약

Size Category 테이블에 저장될 데이터의 예상 크기 지정 (SAP가 공간 효율적으로 배정)
Buffering 테이블을 메모리에 캐싱해서 성능 향상 (작고 자주 읽는 테이블에 좋음)

 

'S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ABAP se38 initial screen attributes 타입의미  (0) 2025.04.22
SAP ABAP se38 subobjects  (0) 2025.04.22
SAP ABAP Data Class  (0) 2025.04.22
SAP ABAP DATA TYPE  (0) 2025.04.22
SAP ABAP SE11  (0) 2025.04.22

+ Recent posts